창 밖으로 명왕성 쳐다보기
작성자: Wesley 작성일:지난 몇 주간 장마 때문에 구름과 비 투성이어서 맑은 밤 하늘을 볼 수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슬슬 장마가 끝나가면서 어제 밤 거의 완벽한 기회가 생겼지요. 구름도 없고 안개도 안 끼었으며, 단지 반달의 밝은 빛 정도만 옥의 티였습니다.
제 방에서 남쪽 하늘만 관측할 수 있었기에, 별자리표를 보고 이쪽에 뭔가 볼만한 것이 있나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보자마자 명왕성이 눈에 띄었습니다. 아시다시피 이 왜소행성은 이 글을 쓰는 현재 주요 기사를 장식하고 있는데, 2주 전 뉴호라이즌스 탐사선이 여기를 스쳐 지나갔기 때문입니다. 탐사선에서 보내온 전례없는 선명한 사진들이 대중은 물론 저의 관심을 사로잡게 되었지요. 그래서 제 망원경으로 찾아볼 수 있을까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명왕성이 매우 어두운 천체라는 것입니다. 현재 14.1등급 수준 밖에 되지 않지요. 지금까지 관측해온 바를 생각해보면 천체 촬영을 하더라도 한계에 걸리거나 넘어설 수 있겠다 싶었습니다. 알맞은 위치로 망원경을 향하게 해서 보았는데 역시나 눈으로는 분간이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DSLR 카메라를 설치한 뒤 여러 번 셔터를 길게 개방하여 사진을 찍어봤습니다. 이렇게 하면 뭔가 더 드러나지 않을까 하는 것이었지요. 그렇게 나온 결과 중 하나가 위의 사진입니다. 가장 밝은 별은 궁수자리 ξ1(크시 1)인데, 5.1등급 별입니다. 나머지 대부분은 10등급보다도 어두운 수준입니다.
명왕성 발견 - 위에서 2/3 지점, 왼쪽에서 1/3 지점이었음
사진과 천체지도를 조심스럽게 비교해본 결과, 별에 해당하지 않는 점을 결국 찾아냈습니다. 이것이 제가 찾던 명왕성인 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약 1시간에 걸쳐 찍은 모든 사진을 비교해가면서 움직임이 있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그 천체가 별이 아니라 태양계를 돌고 있는 것임을 강력하게 시사하기 때문이지요.
애니메이션화 한 명왕성의 움직임
그리고 실제로 그런 모습을 보였습니다. 제가 찾던 왜소행성이 여기 있었네요. 이런 식으로 비교해보는 절차는 1930년에 처음으로 판별되어 발견될 때의 과정과 흡사했던지라 그 과정을 다시 밟아보는 것 같아 기분이 좋았습니다. 나주의 남쪽 하늘이 이렇게 멀리 있는 세계를 볼 수 있을 만큼 아직 충분히 어둡다는 것을 알게 된 것도 그렇고요.
망원경: 셀레스트론 넥스스타 6SE
장치: 캐논 EOS 450D (직초점)
설정: (1500mm) - ISO 1600 - 30초 - (f/10)
필터: 없음
시간: 2015-07-26 00:06 - 01:13 대한민국 표준시
위치: 대한민국 나주
이 글에 대한 태그: astronomy, Canon EOS 450D, Celestron NexStar 6SE, dwarf planet, planet, Pluto, telesc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