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태그가 달린 글

바더 M&S 필터로 본 목성

캐논 SX50 HS로 찍은 목성계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 순으로: 에우로파, 이오, 목성, 가니메데(밝음), 칼리스토(어두움)

바더 문 앤드 스카이글로우 필터를 캐논 SX50 HS에 장착한 모습
큰 카메라에 작은 필터
2주 전에 빛공해를 줄여주고 행성의 대비를 높여준다고 하는 바더 문 앤드 스카이글로우(Baader Moon & Skyglow) 필터를 구입했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58mm-28mm 스텝다운링에 끼워서 저의 캐논 SX50 HS 카메라에 장착했습니다. 왼쪽 사진을 보시면 어떤 모습인지 알 수 있습니다. 이 필터는 망원경용 필터 치고는 저렴한 편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비쌌기 때문에 2배 가까이 하는 2"용 (48mm 직경에 맞음) 대신 1.25"용(28.5mm 직경에 맞음)을 샀습니다. 스텝다운링과 필터 간의 0.5mm의 차이 때문에 끝까지 끼워지지는 않지만, 그럭저럭 쓸 수 있습니다.

오늘 새벽에 목성계를 촬영해보면서 이 필터의 성능을 시험해 보았습니다. 빛공해는 잘 차단되는 편이지만, 지난 번 찍은 목성 모습과 비교해보면 대비는 그다지 큰 향상이 없었습니다. 참고로, CalSky에 따르면 이 촬영 때 목성의 대적반(Great Red Spot)이 지구를 향하고 있었고, 목성의 오른쪽 아래 부분에서 볼 수 있었어야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SX50은 현재 거리에서 이런 특징을 분명하게 잡아내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보입니다. 몇몇 분은 아래쪽 띠의 오른쪽 끝에 어두워지는 부분이 아닌가 하는 의견을 주시던데, 향후 더 찍어보아야 확인이 가능할 듯 합니다. 목성의 가시 크기는 점점 커지고 있고, 이듬해 1월 쯤에 절정을 이뤄 지금보다 30% 가량 더 커 보일 예정이므로 계속 희망을 가져봐야겠습니다.

목성: 1200mm (2x DTC* 적용) - ISO 80 - 1/80s - 22개 사진 적층
위성: 1200mm (2x DTC 적용) - ISO 1250 - 1/10s - 117개 사진 적층
*DTC = 디지털 텔레컨버터. RegiStax 6.1.0.8로 적층 처리.

시간: 2013-09-04 04:30 대한민국 표준시
위치: 대한민국 수원시
이 글에 대한 태그: , , ,

밤하늘의 국제우주정거장

캐논 SX50 HS로 촬영한 국제우주정거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국제우주정거장 포착

오늘밤은 하늘이 아주 맑아서 국제우주정거장을 바로 찍을 좋은 기회였습니다. 하지만 어떤 설정으로 찍어야 할지 알 수가 없어 대략적인 설정으로 도전해 보았습니다. 서쪽 하늘에 -2등성 정도의 밝기로 나타났을 때 찍어보니 괜찮게 나왔지만 남쪽 하늘로 이동하면서 밝아졌을 때는 너무 밝게 찍혔습니다.

그래도 초반에 카메라를 삼각대 위에 안정시키고 손으로 열심히 추적하는 동안 찍은 사진 몇 개를 건질 수 있었습니다. 국제우주정거장의 특징적인 모습인 거대한 태양전지 패널이 우주인들이 묵고 있는 가운데 부분 옆에 붙어있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마치 H 같은 모양을 하고 있지요.

설정: 캐논 SX50 HS - 1200mm - ISO 250 - 1/400초
처리: 5개 사진을 RegiStax 6.1.0.8로 적층
시간: 2013-08-26 20:03 대한민국 표준시
이 글에 대한 태그: , , ,

계절성 블루문

캐논 SX50 HS로 찍은 2013년도 계절성 블루문의 일부
2013년의 계절성 블루문(Blue Moon)

블루문이라 일컫는 것은 크게 두 종류가 있는데, 둘 다 달의 색깔하고는 무관합니다. 첫번째는 같은 달에 두번째로 등장하는 보름달입니다. 마지막으로 나타난 때가 2012년 8월 31일이었고, 다음은 2015년 7월 31일에 등장할 예정입니다.

두번째는 한 계절에 보름달이 평소의 3번이 아닌 4번이 뜨는 경우, 그 계절에 3번째로 뜨는 보름달입니다. 오늘 새벽 일찍 목격한 보름달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다음은 2016년 5월 21일 나타난다고 하네요. 위의 부분만 보여드린 사진을 클릭하면 2700x2700 픽셀짜리 원본 해상도 버전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설정: 캐논 SX50 HS - 1200mm (2배 디지털 텔레컨버터 적용) - ISO 80 - 1/400초
시간: 2013-08-21 01:00AM 대한민국 표준시
이 글에 대한 태그: , , ,

목성과 갈릴레이 위성

캐논 SX50 HS로 촬영한 목성과 갈릴레이 위성을 합친 사진
상단 오른쪽에서 하단 왼쪽 순: 가니메데, 에우로파, 이오, 목성, 칼리스토

목성은 비교적 크고 밝기 때문에 캐논 SX50 HS로 찍고 싶은 피사체 목록 중 꼭대기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빛 공해 때문에 태양에서 충분히 떨어져 있지 않는 이상 촬영하기가 여의치 않았습니다. 다행히, 동남부 지역에서 휴가를 보내게 되면서 기회를 잡을 수 있었습니다.

두 차례에 걸쳐 일련의 사진을 찍었습니다. 먼저 목성을 빠른 셔터속도로 찍고, 그 다음에는 갈릴레이 위성을 느린 셔터속도로 찍었습니다. 각각을 따로 RegiStax 6.1.0.8로 적층시킨 다음 마지막으로 위에 보이는 하나의 사진으로 만들었습니다.

목성: 1200mm - ISO 250 - 1/125초, 25개 사진 적층
위성: 1200mm - ISO 3200 - 1/10초, 5개 사진 적층
시간: 2013-08-17 04:00 대한민국 표준시
위치: 대한민국 울산

아래 사진들은 목성 및 갈릴레이 위성 촬영 사진 원본 크롭 중 일부입니다.

SX50 HS로 찍은 목성 사진 견본 1
목성 1
SX50 HS로 찍은 목성 사진 견본 2
목성 2
SX50 HS로 찍은 목성의 갈릴레이 위성 사진 견본 1
위성 1
SX50 HS로 찍은 목성의 갈릴레이 위성 사진 견본 2
위성 2
이 글에 대한 태그: , , , ,

태양과 국제우주정거장의 교차 포착

국제우주정거장이 태양 앞을 교차하는 모습을 찍은 사진을 합친 것
국제우주정거장이 태양 앞을 지나는 중


CalSky에서 제공하는 예측 자료가 매우 정확하다는 걸 증명하듯이, 어제 오후 자작 태양 필터를 탑재한 캐논 SX50 HS를 가지고 국제우주정거장(ISS)이 태양 앞을 지나는 모습을 찍는데 성공했습니다. 저의 아버지께서 이 현상을 옆에서 쌍안경을 가지고 같이 보고 있었고요. 하지만 ISS가 교차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1초보다 약간 빠른 수준에 불과해서 우리 모두 처음에는 제대로 본 것인지 확신할 수 없었고, 사진에 찍힌 것을 확인하고서야 안심했습니다. 총 3장의 사진에서 태양 앞에 ISS의 윤곽이 찍힌 모습이 드러났습니다.

태양을 가로지르는 ISS 사진들을 원본크기로 합친 것
원본크기 합성


위의 사진을 클릭하면 태양 (관측 당시 촬영한 사진 30장을 RegiStax 6.1.0.8로 적층) 및 ISS 포착상황을 원본 크기의 단일 사진으로 합쳐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들을 클릭하면 원본 촬영 사진들을 볼 수 있습니다.
설정: 캐논 SX50 HS - 1200mm - ISO 250 - 1/1600초
시간: 2013-08-16 16:50:38 대한민국 표준시
위치: 대한민국 경주 보문호 근처

태양-ISS 교차 포착사진 #1
1
태양-ISS 교차 포착사진 #2
2
태양-ISS 교차 포착사진 #3
3
이 글에 대한 태그: , , , , ,

(C) 1996-2025. 이 웹사이트의 저작권 및 권한은 정우덕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