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1586 태그가 달린 글

아이폰6S+와 이전 모델의 LTE 및 VoLTE 현황

LTE는 4세대(4G) 이동통신 데이터 전송 표준으로, WCDMA를 포함한 다른 3세대(3G) 표준을 계승하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전세계 통신사들이 이 표준을 적용하기 위해 채택한 주파수 대역(밴드)은 전에 비해 훨씬 다양해지는 바람에 골치가 아파졌습니다. 특히 애플에게 말이지요.

왜냐 하면 아이폰의 경우 한 모델이 전세계 통신사들을 최대한 한꺼번에 지원하게 함으로서 출시 기종 수를 단순화하려고 해왔기 때문입니다. LTE 지원이 들어가기 전 마지막으로 나온 아이폰4S의 경우 실제로 전세계적으로 단일 기종으로 출시되었습니다. 그에 반해 아이폰5와 5S는 각기 다른 LTE 주파수 대역 지원을 하는 여러 기종으로 쪼개지고 말았습니다. 칩셋이 한 번에 필요한 모든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지원할 수 없었던 영향이 컸습니다.

그러다 보니 한 국가에서 구입한 아이폰이 다른 국가에서 LTE 지원이 안될 수도 있었습니다. 아이폰5의 경우 한국에서 LTE를 사용하고 싶을 경우 A1429 (미국 스프린트, 버라이즌용) 모델이 필요했습니다. A1428 (미국 AT&T, T모바일용)은 안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런 문제가 2014년 이전까지 한국 이동통신사들이 해외 구매 휴대전화에 대해 자동으로 LTE 지원을 활성화하지 않았던 원인 중 하나가 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동네에 생긴 SK텔레콤 공식인증 대리점

LTE를 사용하고 싶을 경우 이동통신사 지점이다 공식 대리점에 방문해서 LTE 지원이 되는 기기로 수동 등록을 했어야 했습니다. 제가 가진 AT&T용 아이폰5S를 이런 식으로 SK텔레콤 통신망에 "OMD Apple LTE 핸드셋"으로 등록시켰습니다. 그런데 2014년에 이르러 이 문제가 대부분 해소되었습니다. 해외에서 가져온 아이폰이 곧바로 LTE망을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아이폰6과 6 플러스가 세부 모델에 상관 없이 전세계적인 LTE 주파수 대역 지원이 포함되었기 때문입니다.

아이폰6S와 6S 플러스의 상황도 비슷하며, 이미 포괄적인 LTE 주파수 대역 지원을 보강하는 차원에서 잘 안 쓰거나 곧 쓰게 될 몇몇 대역이 추가되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여전히 각 종류 별로 3개 기종이 나오기는 하지만, 그 중 하나는 AT&T 전용으로 쓰게 될 밴드30을 추가 지원하기 위한 것이고 (A1633, A1634) 다른 하나는 중국 출시를 위한 것입니다 (A1700, A1699). 그 외에는 일반 기종(A1688, A1687)과 동일합니다.

통신망 등록명이 "OMD Default 핸드셋"에서 "OMD Apple VoLTE_6S"으로 변경됨

하지만 모든 게 다 말끔해진 것은 아닙니다. VoLTE (LTE 기반 음성통화) 지원은 아직 휴대전화에서 널리 지원되는 기능이 아니다 보니 이 글을 쓰는 현재 통신사들이 여전히 수동으로 지원 가능 상태를 정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 구입한 아이폰6, 6 플러스, 6S, 6S 플러스를 가지고 있는 자는 여전히 통신사 지점이나 대리점을 방문해야 합니다.

저에게 해외에서 구입한 아이폰6S 플러스가 2대 있었는데, 하나는 앞서 올린 글에서 보셨던 일본의 "심 프리" 버전이고 다른 하나는 미국 T모바일용으로 나온 버전입니다. 둘 다 A1687인데, 이는 한국에서 며칠 후 (2015년 10월 23일) 팔릴 버전과도 같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자는 SK텔레콤 지사에 가서 "OMD Apple VoLTE"로 등록되었는데, 이는 작년에 제 아이폰6 플러스가 받았던 호칭과 같습니다. 후자는 여기서 보시듯이 동네에 있는 SK텔레콤 공식인증 대리점에서 "OMD Apple VoLTE_6S"로 등록되었습니다. 단, 이렇게 하고도 통신망이 변경사항을 인지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기다린 후에야 비로소 VoLTE 기능이 작동하기 시작했습니다.

공식인증 대리점에서 등록을 진행하면서 흥미로웠던 (또는 번거로웠던) 점은 진행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이미 등록된 적이 있는 별도의 공기계가 있어야 했다는 것입니다. 대리점 측에 따르면, 일단 제 아이폰6S 플러스에 유심카드를 넣은 순간 통신망에서 해당 기기를 분류하지 못하여 자동으로 "OMD Default 핸드셋"으로 등록했다고 합니다. 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일단 유심카드를 다른 기기에 넣어서 6S 플러스가 어떠한 유심카드와도 묶여 있지 않은 상태로 두어야 하며, 이 상태가 되어야 재등록을 진행할 수 있었다고 알려주었습니다. 지점에서는 이렇게 별도 기기를 필요로 한 적이 없었던 것을 미루어볼 때, 대리점 측의 전산 시스템이 지점에 비해 미비한 점이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이폰6S+와 이전 모델의 LTE 및 VoLTE 현황" 계속 읽기

Today's "The Toon-Box"

터무니없는 애플코리아의 아이폰6 가격

애플코리아의 언락된 아이폰6 플러스 가격

오늘 한국 공식 출시 딱 일주일 전이 되면서 애플코리아가 언락된 아이폰6 시리즈에 대한 주문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부가세 포함 원화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폰6: 16GB 850,000 / 64GB 980,000 / 128GB 1,110,000
아이폰6 플러스: 16GB 980,000 / 64GB 1,110,000 / 128GB 1,240,000

글 쓰는 현재 기준 환율은 1060원/US$ 정도이므로 아이폰6 플러스 128GB는 세후 약 $1170에 해당됩니다 (세전 $1060). 이는 세전 $949인 미국보다 제법 비싸지요. 계산해보니 애플코리아는 1190원/US$ 환율을 적용시키고 있어서 1달러 당 130원(12.3%) 더 받아가고 있었습니다.

$649 x 1190 x 1.1 ~= 849,500원 (실제: 850,000)
$949 x 1190 x 1.1 ~= 1,242,000원 (실제: 1,240,000)

한국의 이동통신사들이 아이폰6 시리즈 출고가로 정한 가격은 고작 3만원 5~6만원 정도 더 쌉니다 (갱신됨 - 아래 참조). 그래서 한국에서는 2년 약정을 하더라도 기기 값은 가장 비싼 아이폰6 플러스의 경우 미국 약정가격 $499의 두 배가 넘게 됩니다. 가장 싼 아이폰6는 4배나 비싸지요.

애플재팬의 언락된 아이폰6 플러스 가격

이것이 얼마나 터무니없는지 보기 위해 바로 옆 나라인 일본을 보기로 하겠습니다. 애플재팬의 세전 엔화 가격은:

아이폰6: 16GB 67,800 / 64GB 79,800 / 128GB 89,800
아이폰6 플러스: 16GB 79,800 / 64GB 89,800 / 128GB 99,800

적용된 환율은 105엔/US$ 정도인데, 실제 기준환율은 108엔/US$으로 오히려 더 높습니다. 이 말인즉슨, 일본의 애플이 미국의 애플보다 아이폰6 시리즈를 더 싸게 팔고 있다는 것입니다.

$649 x 105 ~= 68,100엔 (실제: 67,800)
$949 x 105 ~= 99,600엔 (실제: 99,800)

이 상황을 현실적으로 보기 위해 한국인 관광객이 아이폰6 플러스 128GB나 아이폰6 16GB를 일본에서 구입한 뒤 귀국하여 가져오는 경우를 생각해보기로 합니다. 이 사람이 현금이나 신용카드를 써서 구입하게 되면 이 글을 쓰는 현재 9.98원/엔의 환율을 적용받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99,800엔 x 9.98 ~= 996,000원
67,800엔 x 9.98 ~= 676,000원

훨씬 싼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외국인 관광객이다 보니 8% 소비세도 면제가 됩니다. 구입 시 추가비용을 내지 않는 것이지요. 그리고 일단 한국으로 돌아오게 되면 세관에서는 물품 금액이 US$600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 10% 부가세를 걷게 됩니다.

((99,800 / 108) - US$600) x 0.1 = US$32.40 = 35,000원
((67,800 / 108) - US$600) x 0.1 = US$2.78 = 3,000원

그럼 과연 최종적으로 얼마나 더 싸게 사는 것일까요?

아이폰6 플러스 128GB: 1,240,000 - 996,000 - 35,000 = 209,000원
아이폰6 16GB: 850,000 - 676,000 - 3,000 = 171,000원

저가항공의 한국-일본 왕복 푯값이 20만원 이하인 점을 감안하면 일본에서 아이폰6 (플러스)를 사는 사람은 한국에서 살 돈으로 일본을 공짜로 다녀오게 되는 것이나 다름없게 됩니다. 여기서 가장 큰 문제의 소지가 되는 점은 한국 내에서 공식적인 수리나 리퍼를 받기 힘들게 된다는 것이고요.

그러니까 만약 한국인으로써 아이폰을 사고 싶은데, 관광을 좋아하고 사설 수리업체를 가는 것은 괜찮다고 생각한다면 일본에 있는 애플스토어에 예약을 하고 일본으로 가는 비행기표를 끊어서 수령해오면 되겠습니다. 이게 다 애플코리아의 어이없는 폭리 덕분입니다.

갱신 사항(16:30): 3위 업체인 LGU+의 가격을 확인해보았습니다. 이렇게 나오더군요:

아이폰6: 16GB 799,000 / 64GB 920,000 / 128GB 1,041,000
아이폰6 플러스: 16GB 920,000 / 64GB 1,041,000 / 128GB 1,162,000

기존에 책정되던 한국 통신사들의 아이폰 출고가격보다는 약간 싸게 나왔습니다. LGU+가 처음으로 팔게 되는 아이폰이라서 약간의 가격 경쟁력을 주기 위해 이렇게 된 것일 수도 있습니다.

갱신 사항(2014-10-31 10:20): 그동안 가격이 다소 조정되다가 이동통신 3사가 출고가를 최종 확정하여 다음과 같이 공개했습니다:

아이폰6: 16GB 789,800 / 64GB 924,000 / 128GB 1,056,000
아이폰6 플러스: 16GB 924,000 / 64GB 1,056,000 / 128GB 1,188,000

통신사들이 가장 싼 모델을 더 싸게 보이게 함으로써 아이폰6의 전체 판매량을 늘리려는 듯 합니다. 하지만 다른 모델은 가격을 올려서 전체적으로 애플스토어 가격보다 대략 5만원 싸게 책정했습니다. 하지만 2년 약정 동안 매달 나가는 기기값에 할부금리를 쳐서 받게 되기 때문에 최종 비용은 결국 거의 같게 됩니다.

아이폰6 플러스 리뷰 종합 정리

거의 한 달 동안 저는 아이폰6 플러스를 매일매일 써왔습니다. 한국에 이 기기를 처음 들여온 사람 중 한 사람으로써, 한국 사람들이 곧 접하게 될 것이 어떤 것인지를 알려드리기 위해서 개선사항 및 기능에 대한 집중 분석을 하게 되었지요. 이제 힘든 일은 다 끝이 남에 따라, 그동안 적어 올린 리뷰들에 대해 종합 정리를 하여 여기에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아이폰6 시리즈는 애플의 공식 발표에 따르면 2014년 10월 31일 드이어 한국에 출시가 될 예정입니다. 통신사들은 약 1주일 전에 예약판매를 실시할 것으로 보이고요. 이 리뷰를 읽어보시고 과연 본인에게 아이폰6 플러스가 알맞은 기종인지 판단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영어로 나올 경우 웹사이트 오른쪽 메뉴의 언어를 Korean으로 설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예고 사진 내용 요약
0. 한국에 들어온 첫 아이폰6 플러스 중 하나 (2014-09-19)
아이폰6 플러스 첫 출시일에 일본으로 넘어가서 구입한 뒤 한국으로 가지고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1. 아이폰6 플러스 - 개봉 및 첫 인상 (2014-09-22)
아이폰6 플러스를 담고 있는 상자를 개봉한 뒤에 기기의 전반적인 모습을 둘러보았습니다. 카메라 렌즈로 인해 뒷면에 튀어나온 부분도 살펴보았습니다.
2. 아이폰6 플러스 보호하기 (2014-09-23)
아이폰6 플러스 본체의 앞과 뒤에 보호 필름을 부착했습니다. 그 다음 갤럭시 노트 시리즈용으로 출시된 벨트 케이스에 넣어보았습니다. 애플에서 직접 공급하는 가죽 케이스도 끼워보았습니다.
3. 아이폰6 플러스의 모양과 크기를 비교해보기 (2014-09-23)
아이폰6 플러스의 크기, 두께, 모양 등을 다른 기기와 비교해 보았습니다. 먼저 다른 아이폰과 아이패드와 비교를 해본 뒤, 비슷한 크기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도 비교해보았습니다.
4. 아이폰6 플러스의 LTE 호환성 및 속도 (2014-09-24)
언락된 해외 발매 아이폰6 플러스는 한국의 SK텔레콤 및 KT 통신망에서 자동으로 LTE 작동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아이폰6 플러스와 아이폰5S의 실전 LTE 속도 비교도 실시했습니다.
5. 아이폰6 플러스의 VoLTE 호환성 (2014-09-25)
설정에 VoLTE가 되도록 해놓았음에도 모든 통화가 3G 모드로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SK텔레콤 지점에 방문하여 기기 등록 과정을 거친 뒤 비로소 VoLTE가 작동하게 되었습니다.
6. 휘어짐 없이 아이폰6 플러스 배터리 테스트하기 (2014-09-29)
아이폰6 플러스와 아이폰5S의 실생활 배터리 방전 및 충전 테스트를 동시에 진행해 보았습니다. 벨트 케이스에 넣고 다녀서 휘어짐에 대한 걱정은 없었습니다.
7. 아이폰6 플러스 - 일반적인 성능 (2014-10-01)
다양한 앱을 실행시켜 아이폰6 플러스와 아이폰5S의 성능 비교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여기에는 3DMark, Geekbench는 물론 각종 자바스크립트 테스트도 포함되었습니다.
8. 아이폰6 플러스 - 카메라 품질 (2014-10-01)
아이폰6 플러스에 장착된 카메라는 아이폰5S에 비해서 동적 범위가 개선되고 야간 촬영 능력이 향상되었습니다. 손떨림 보정 기능 또한 매우 잘 작동했습니다.
9. 아이폰6 플러스 - 카메라 속도 (2014-10-04)
아이폰6 플러스의 초점 잡는 성능은 아이폰5S보다 눈에 띄게 좋아졌습니다. 버스트 모드 촬영과 슬로모션 동영상 촬영 또한 개선되었습니다.
10. 아이폰6 플러스 - M8 동작 보조처리장치 (2014-10-08)
M8 동작 보조처리장치와 새롭게 탑재된 기압측정 센서를 테스트해보기 위해 계단을 올라가면서 몇 층 올라간 것으로 기록되는지 보았습니다. 이 센서의 다른 용도도 둘러보았습니다.
11. 아이폰6+와 SKT의 VoLTE는 어디까지 되나? (2014-10-13)
아이폰6 플러스에서 VoLTE 통화를 시도했을 때 SK텔레콤 통신망이 어떻게 처리하는지는 상대편의 접속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모든 가능성을 시험해 보았습니다.
12. 한 달 간 아이폰6 플러스를 쓰면서 느낀 점 (2014-10-14)
아이폰6 플러스를 한 손으로 사용하는 것은 애플이 원하는 만큼 그리 편리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것의 원인이 된 대형 화면은 그걸 감내할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아이폰6 플러스와 SKT의 VoLTE는 어디까지 되나?

앞서 올린 VoLTE 관련 글에서 언급했듯이, 한국의 주요 이동통신사 3군데 모두 VoLTE를 지원한지는 제법 되었습니다. 한 가지 커다란 문제가 있기는 한데, 수 년 간의 협상에도 불구하고 통신사 간 VoLTE가 아직도 구현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지요. 이 때문에 다소 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실상을 정확하게 보자면, 지원되는 기기는 항상 VoLTE 통화를 요청할 수는 있어도 통신망 측에서 받아들일지를 결정해야 하고, 설령 그렇다고 하더라도 끝까지 해줄지, 표면 상으로만 해줄지는 별개의 문제라는 것입니다.

LGU+의 경우, 낡아가는 "2G" CDMA 망이 항상 약점으로 작용했던지라 음성통화를 포함해서 모든 것을 다 LTE에서 할 수 있도록 엄청난 노력을 쏟아부었습니다. 그 결과 알맞은 CDMA 주파수를 지원하지 않더라도 VoLTE가 지원되는 단말기는 사용할 수가 있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아이폰6 시리즈가 여기에 해당되지요. ( 한국 공식 출시 때까지는 개통이 막혀있다는 조건은 있습니다. 기술적이 아니라 정책적인 문제입니다. ) 만약 이런 단말기를 가지고 있을 경우, 어떤 경우라도 모든 통화가 VoLTE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SK텔레콤 (SKT)과 KT의 경우 "3G" WCDMA망이 아직 널리 쓰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아직 완전히 LTE로 가고자 하는 절박함이 없습니다. 음성통화는 상황에 따라서 3G로도, LTE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지요. 아직 이들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말기 중에서 모든 통화를 VoLTE로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저는 SKT 사용자이다 보니, 제가 가지고 있는 VoLTE 단말기인 아이폰6 플러스를 가지고 이런저런 전화번호로 통화를 해보면서 어떻게 접속되고 품질은 어떤지 파악해 보았습니다.

사례 수발신자1 수발신자2 접속상태1 접속상태2 통화품질
1 SKT VoLTE SKT VoLTE LTE LTE HD보이스
2 SKT VoLTE SKT 3G (AMR-WB) LTE 3G HD보이스
3 SKT VoLTE SKT 2G/3G LTE 2G/3G 일반
4 SKT VoLTE KT / LGU+ VoLTE LTE LTE 일반
5 SKT VoLTE KT / LGU+ 2G/3G LTE 2G/3G 일반
6 SKT VoLTE 유선통화 (02 ~ 064) LTE 유선통화 일반
7 SKT VoLTE 무료통화 (080) LTE 유선통화 일반
8 SKT VoLTE 특수 (15xx, 3자리) 3G 유선통화 일반
9 SKT VoLTE VoIP (070) 3G 인터넷 일반

이 글을 쓰고 있는 현재, SKT 통신망에 있는 두 종류의 단말기가 아이폰6 플러스와 서로서로 HD보이스 품질의 통화를 할 수 있습니다. VoLTE 지원 단말기 (사례1)와 VoLTE 지원은 안되지만 AMR-WB를 지원하는 단말기 (사례2)인 것이지요. AMR-WB 코덱은 VoLTE가 쓰는 코덱과 동일하지만, 아이폰5나 엑스페리아 레이 같은 기종은 이를 3G망에서만 좀 더 낮은 비트레이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아직 통신사 간 VoLTE 통화 합의가 이루어진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다른 통신망에 있는 VoLTE 단말기와 통화할 경우 (사례4) 품질이 떨어지게 됩니다. 기술적으로는 이렇게 될 사유가 전혀 없기 때문에 얼른 해결이 되었으면 합니다.

한편, 대부분의 통화는 LTE로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3자리 번호 (비상전화 포함)라든가, 15xx, 16xx 같이 회사들이 주로 쓰는 번호 (사례8) 등 특수 번호라든가, 070 번호를 부여받은 VoIP 인터넷 전화 (사례9)는 여기서 제외됩니다. 이런 통화는 애초에 고급 코덱으로 접속되지 않으므로 LTE로 꼭 접속될 필요가 없다는 점은 납득이 가지만, 하필 일반 유선전화는 LTE로 접속되는 점은 설명이 되지 않는 숙제를 남기고 있네요.

(C) 1996-2025. 이 웹사이트의 저작권 및 권한은 정우덕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