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태그가 달린 글

아이폰6 플러스의 LTE 호환성 및 속도

아이폰6 플러스에 LTE 개통된 유심을 삽입하기

LTE 주파수는 기존의 2G나 3G망과 공존 또는 대체 관계에 있는 특성 상 매우 다양하게 마련입니다. 그럼에도 애플은 지역 특화 모델을 최소화시키고 싶어하기 때문에 한 기기에 최대한 많은 주파수를 지원하려 해왔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아이폰5S와 5C의 경우 5개 모델로 갈라지는 바람에 본인의 아이폰이 다른 나라의 LTE망에서 작동하는지 묻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작년에 저는 아이폰5S의 LTE 호환성에 대한 글도 올리게 되었는데, 이 사이트에서 가장 많은 댓글이 달린 글로 등극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번 아이폰6과 6 플러스는 다행히도 각각 두 모델로 간소화 되었습니다. 무시무시한 20개 주파수 동시지원 덕분이지요. 그래서 만약 세계 어디서든지 언락된 아이폰6이나 6 플러스를 구입하여 한국에 올 경우 국내 통신3사의 LTE망이 모두 호환된다는 희소식이 있습니다. 한국에는 몇 달 안에 A1586 / A1524 모델이 출시되겠지만 미국, 캐나다 등지에서 주로 팔리는 A1549 / A1522 모델도 잘 작동할 겁니다.

저는 A1524 버전인 아이폰6 플러스를 일본에서 한국으로 가지고 들어온 다음, 제 아이폰5S에 있던 유심을 빼서 넣고 전원을 켜봤습니다. 그러나까 곧바로 SK텔레콤의 LTE망에 아무 문제 없이 접속되었습니다. KT에서 사용할 경우에도 같은 상황인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작년에 미국에서 아이폰5S를 가져왔을 때처럼 등록되지 않은 LTE 기기가 접속하면 3G모드로 제한하는 현상이 사라진 듯 합니다.

아이폰6 플러스가 LTE망에서 96Mbps 다운로드 속도를 내는 모습

한편, 아이폰6 시리즈의 LTE 데이터 최고속도는 150Mbps로, 아이폰5/5C/5S의 100Mbps보다 빨라졌습니다. 물론 한국에 출시되는 최신 사양의 휴대전화는 항상 이보다 한 발 앞서고 있기 때문에 아이폰5가 나올 때 150Mbps가 가능했고 최근 제품은 225Mbps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월 기본 데이터량이 그리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런 속도는 기술력 자랑 이상의 의미를 가지기 힘듭니다.

어찌 되었든, 실제로 아이폰6 플러스가 어느 정도 빠른지 직접 보고 싶어서 속도 측정 테스트 앱을 실행시켜 보았습니다. 여기서 보시다시피 거의 100Mbps까지도 나옵니다. 제법 좋은 결과이기는 한데, 아이폰5S의 최고 속도 수준인 것도 사실이지요. 그러니 두 기기를 같이 두고 테스트를 해볼 필요가 있었습니다.
"아이폰6 플러스의 LTE 호환성 및 속도" 계속 읽기

아이폰 캐리어락, 전파인증, 보증정책에 대해

어느 게시판에서 아이폰 관련해서 몇몇 흥미로운 주장이 나온 바 있어서, 이에 대해 제가 아는 부분을 적어볼까 합니다.

아이폰6 공식 발매가 임박한 가운데, 두 종류의 모델 (아이폰6+: A1522와 A1524, 아이폰6: A1549와 A1586)의 차이점은 처음부터 언락된 상태였는지 아닌지의 여부에 달렸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A1586과 A1524 모델이 언락된 것이라고 본 것인데, 이들이 전세계 LTE 주파수를 사실상 다 지원하는 일종의 월드폰이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동안 아이폰에 통신사 제한(캐리어락)이 걸렸는지의 여부는 모델 번호와 무관했습니다. 먼저 A1586 / A1524를 보겠습니다. 이 모델들은 일본 통신3사에서 발매하게 됩니다.

[아이폰 LTE 지원 정보]

일본 통신사들은 약정 계약을 맺고 판매하는 모델에 캐리어락을 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에 일본 애플스토어에는 언락("심프리")된 버전도 판매하고 있지요. 즉, 저 모델들은 둘 다 캐리어락, 언락 버전이 존재할 것이라는 것이지요.

한편, A1549 / A1522의 경우를 보겠습니다.

미국 버라이즌과 T-Mobile 버전은 GSM/WCDMA에 대해 언락된 상태로 나옵니다. AT&T는 약정 맺고 기기할인 받게 되면 캐리어락 걸립니다. 캐나다의 경우, 애플스토어에 가면 언락된 버전을 팝니다.

이렇듯 모델 번호에 상관없이 캐리어락이 걸릴 수도, 안 걸릴 수도 있습니다. 모델 번호는 출시 통신사와 상관이 있는 것입니다.

한국의 경우, 아이폰5S의 전례로 보았을 때 향후 출시될 모델은 A1586 / A1524로 예측합니다. 5와 5S에서 보면 홍콩 출시 버전이 한국에 출시되어왔는데, 6/6+는 A1586 / A1524가 홍콩 출시 버전입니다.

한국의 경우, 4S부터 통신사 출시 버전 여부에 상관 없이 언락 상태입니다. 그러므로 아이폰6/6+도 같을 것입니다.

수입 규제와 관련되는 한국 전파인증 문제는 좀 생각해봐야 할 부분입니다. 인증은 모델번호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인증만 통과된다면 (애플코리아는 9월 11일에 인증 신청함) 기술적으로 일본, 홍콩 등지에서 발매되는 아이폰6/6+도 인증이 되는 셈이죠.

근데 방통위 마크가 뒤에 안 찍혀있을테니 반입 시 문제가 제기될 경우 전파인증내역과 모델번호를 보여주어야 할 겁니다. 모델 당 1인 1기기 한도로 인증면제 반입을 허가하는 것은 미인증 기기의 면제에 대한 것이니 인증기기의 반입에 대한 제한으로 작용할 순 없을 겁니다. 하지만 막상 이걸로도 해결이 안된다면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 보고된 사례를 찾기가 힘들어서 애매합니다.

A/S의 경우, 원칙적으로 iOS 기기는 로컬워런티를 따릅니다. 이는 보증서에도 명시되어 있습니다.

[애플 iOS 하드웨어 보증 정보]

"Apple은 아이폰과 아이패드 제품에 대해서는 Apple 또는 Apple의 공인된 판매자들이 해당 Apple 제품을 최초로 판매하였던 국가에서만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다른 나라 버전도 동일한 의미의 문구가 써 있습니다. 심지어 모델번호가 한국 버전과 같은 홍콩판 아이폰도 한국에서 A/S 안되는 것으로 사례 검색이 많이 됩니다.

언락된 버전 안내에 "해외에서 쓸 경우 이거 써라" 하는 안내가 있기는 하지만 이는 관광 등으로 돌아다니는 상황에서 현재 심카드(유심)를 넣을 수 있으니까 하는 말입니다. 캐리어락 걸려 있으면 그게 안되니까 말이죠. 일본어 버전의 안내에는 이게 좀 애매하게 써놨는데 캐나다 버전 보면 명확합니다.

언락된 아이폰에 대해 (일본)

"複数年のサービス契約を結びたくない場合や、海外で地元の通信事業者を使いたい場合は、SIMフリーのiPhoneを選ぶことをおすすめします。"
"다년간의 서비스 약정을 맺고 싶지 않은 경우나, 해외에서 현지 통신사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 심프리 아이폰을 선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언락된 아이폰에 대해 (캐나다)

"If you don’t want a multiyear service contract, or if you prefer to use a local carrier when traveling abroad, the unlocked iPhone is the best choice."
"만약 여러 해에 걸쳐 약정을 맺고 싶지 않거나 해외 관광 중에 현지 통신사를 쓰는 것을 선호하신다면 언락된 아이폰이 최선입니다."

즉, 애플은 "이거 해외 나가서 산 뒤 돌아와서 쓰다가 고장나도 너희 나라에 있는 서비스센터에 맡길 수 있어"라고 한 적이 없다는 것입니다. 만약 수리를 받을 수 있었다면, 운이 좋은 것이지 원칙 상 정책적으로 허용된다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아이폰5S 리뷰 종합 정리

지난 30여 일 동안 한국에서 처음으로 아이폰5S를 쓰게 된 사람 중 한 사람으로써 이 기기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는 리뷰를 많이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주요 관심분야는 모두 다루게 된 것 같고, 지난 금요일 한국에도 공식 출시가 되었으니 그동안 적었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고 링크를 걸어보겠습니다.

(영어로 나올 경우 사이트 오른쪽의 언어 설정을 Korean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1. 외관 [클릭하여 읽기]
아이폰5와 거의 동일하나 홈버튼, 플래시, 색상이 달라졌습니다.
포장 상자는 충전기 크기가 줄어들어 덩달아 작아졌습니다.

2. 통신망 호환성 [클릭하여 읽기]
해외에서 구입한 언락된 아이폰5S는 LTE를 포함해서 완벽하게 작동합니다.

3. 광대역 LTE 호환성 [클릭하여 읽기]
정상적으로 호환됩니다.

4. 카메라 속도 [클릭하여 읽기]
아이폰5보다 최소 2배 빠릅니다. 슬로모션과 버스트 모드 모두 잘 작동합니다.

5. 카메라 품질 [클릭하여 읽기]
더 매끄러운 사진, 향상된 저조도 촬영, 더 자연스럽게 찍히는 플래시를 제공합니다.

6. 생체인식 기능 [클릭하여 읽기]
편리하고 빠르며 보안성은 괜찮습니다. 다양한 신체부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7. 동작 보조처리장치 [클릭하여 읽기]
배터리 영향 없이 사용자 움직임을 잘 추적합니다. 건강, 피트니스 앱에 유용합니다.

8. 성능 측정 [클릭하여 읽기]
CPU 및 GPU 테스트에서 아이폰5보다 2배 빠릅니다. LTE 속도는 동일한 수준입니다.

9. 센서 문제 [iOS 7.0.2에서 확인] [iOS 7.0.3에서 해결]
가속도계 보정 문제가 있었지만 iOS 7.0.3에서 고쳐졌습니다.
다른 센서들은 오차 허용범위 내에서 정상 작동했습니다.

10. 배터리 성능 [클릭하여 읽기]
아이폰5와 비교했을 때 좀 더 오래 가고 충전도 좀 더 빨리 되었습니다.
이 글에 대한 태그: , , , ,

아이폰5S에서 SKT 광대역 LTE 쓰기

아이폰5S에서 광대역 LTE 작동확인 및 속도 측정 화면캡쳐
광대역 LTE는 자동 지원되지만, 실제 속도는 천차만별

이 화면캡쳐들은 대한민국 1위(가입자 기준) 이동통신사인 SK텔레콤(SKT)의 LTE망이 아이폰5S에서 돌아가는 실제 모습을 보여줍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일명 "광대역" LTE가 지원된다는 것입니다. Field Test 앱의 "Serving Cell Info"를 보면 "Download Bandwidth"는 20MHz로 표시되는데, 이는 일반 LTE 서비스의 2배에 해당됩니다. "Freq Band Indicator"는 3이라고 되어 있는데, 밴드 3 (1800MHz)에서 제공된다는 뜻입니다. 이는 SKT LTE의 보조 주파수이며, 얼마 전 경매를 통해 추가 대역 확보가 되어 광대역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 것입니다.

그런데 SKT의 밴드 3 지원 기지국은 광대역 지원은 차치하더라도 아직 수도권 지역 위주로 국한되어 있습니다. 사실 위의 화면캡쳐를 찍을 때 아이폰5S가 있었던 곳이 한국의 최대 사무밀집지역이라고 볼 수 있는 서울 강남의 삼성역이었죠.

SKT는 지난 달부터 부랴부랴 밴드 3 기지국에 광대역 지원을 추가하기 시작했고, 오늘자로 서울 10개 구 (총 25개 중)에 지원이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전국망 구축은 2014년 중반에야 된다고 하지요. 그러므로 SKT는 요즘 광고에서 LTE-A랑 광대역 LTE를 모두 가졌다고 신나게 소리치지만, 실제로 쓸 수 있는 사람은 매우 일부에 국한되어 있는 셈입니다. 그나마 KT (2위 업체)는 한 발 앞서고 있는데, 서울 전역을 지난 달 말 광대역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다고 전해집니다.

우측 화면캡쳐는 속도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데, 다운로드 33.1Mbps, 업로드 5.30Mbps로 나왔습니다. 아이폰5S는 기지국이 광대역 지원을 할경우 다운로드 100Mbps가 가능한데, 실측치는 그의 1/3 수준이라는 것입니다. 물론 이만한 속도를 사람들 북적이는 사무지구 출근시간에 뽑아내는 것은 대단하지 않다고 말할 수 없겠지요. 하지만 모든 조건이 완벽하게 맞아떨어지지 않는 한 광고에서 자랑스럽게 떠들어대는 속도는 경험하기 힘들 것입니다. 물론 여러분들은 이미 알고 계셨겠지만요.

이게 돌려 말하면, 광대역 LTE로 제공이 가능한 최고 속도인 150Mbps 대신 100Mbps까지만 지원한다고 아이폰5S가 아쉬워할 일은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곧 아이폰5S를 즐길 준비를 하세요. 애플이 한국에 아이폰5S를 10월 25일에 출시한다고 하니까요.
이 글에 대한 태그: , , , ,

아이폰의 세대별 성능 비교

일렬로 늘어놓은 아이폰5S, 5, 4S 및 3GS
아이폰5S, 5, 4S, 3GS가 모두 집에서 정상 작동 중

지난 4년 간 아이폰3GS를 시작으로 한국에 공식 출시된 모든 아이폰을 출시 첫날 모두 구입했습니다. 아이폰5S는 한국 출시를 기다리지 않고 구입한 처음 모델이고요. 이 중에서 아이폰4는 현재 외부로 파견 중이라 (아버지께서 쓰고 계심) 3GS, 4S, 5, 5S를 가지고 성능 측정을 동시에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비교는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기존 아이폰 사용자들이 업그레이드를 해야 할지 판단하는데 좋은 밑거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계속 읽어주시면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아이폰의 세대별 성능 비교" 계속 읽기

(C) 1996-2025. 이 웹사이트의 저작권 및 권한은 정우덕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