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on 태그가 달린 글

Today's "The Toon-Box"

이 글에 대한 태그: , , , ,

한국-중국 음력 날짜 차이 비교표

곧 출시가 될 iOS 8의 중국식 음력(중국력) 지원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한국과 중국 음력 자료를 비교해보고 정확하게 어디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았습니다. 그 결과를 정리한 것이 아래의 표입니다.

둘 사이의 차이는 대부분 한 달 단위로 일어나는데, 이 때 한국 음력 날짜는 중국 음력보다 하루 늦습니다. 2012년에는 특이하게도 음력 달이 다른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한국 음력에서는 윤3월이 등장한 반면 중국 음력에서는 윤4월이 등장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 비교표는 그레고리력 방식의 서기 양력 1901년부터 2050년까지 있는 모든 날짜에 대해 적용됩니다.

만약에 사용하고 계신 캘린더에 이 정보를 추가하고 싶으시다면, 다음 주소를 활용하세요:
음력 차이 표시 ICS 파일

이 ICS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캘린더 프로그램이나 앱에서 열면 됩니다. 만약 구글 캘린더를 사용하신다면, 먼저 오른쪽 클릭을 하여 주소를 복사하세요. 다음, 구글 캘린더 왼쪽 메뉴의 "다른 캘린더"를 찾아서 오른쪽에 달려있는 아래쪽 화살표를 클릭하고 "URL로 추가"를 선택합니다. 여기에 복사했던 주소를 붙여넣어서 캘린더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서기 양력 한국 음력 윤달 중국 음력 윤달 서기 양력 한국 음력 윤달 중국 음력 윤달
1914-06-23 1914-05-30 X
1914-05-01 O 1973-01-04 ~ 1973-02-02 1972-11-30 ~ 1972-12-29 X 1972-12-01 ~ 1972-12-30 X
1914-06-24 ~ 1914-07-22 1914-05-01 ~ 1914-05-29 O 1914-05-02 ~ 1914-05-30 O 1973-12-24 ~ 1974-01-22 1973-11-30 ~ 1973-12-29 X 1973-12-01 ~ 1973-12-30 X
1914-11-17 ~ 1914-12-16 1914-09-30 ~ 1914-10-29 X 1914-10-01 ~ 1914-10-30 X 1976-11-21 ~ 1976-12-20 1976-09-30 ~ 1976-10-29 X 1976-10-01 ~ 1976-10-30 X
1916-02-03 ~ 1916-03-03 1915-12-30 ~ 1916-01-29 X 1916-01-01 ~ 1916-01-30 X 1978-04-07 ~ 1978-05-06 1978-02-30 ~ 1978-03-29 X 1978-03-01 ~ 1978-03-30 X
1918-12-03 ~ 1919-01-01 1918-10-30 ~ 1918-11-29 X 1918-11-01 ~ 1918-11-30 X 1982-11-15 ~ 1982-12-14 1982-09-30 ~ 1982-10-29 X 1982-10-01 ~ 1982-10-30 X
1919-08-25 1919-07-30 X 1919-07-01 O 1987-05-27 ~ 1987-06-25 1987-04-30 ~ 1987-05-29 X 1987-05-01 ~ 1987-05-30 X
1919-08-26 ~ 1919-09-23 1919-07-01 ~ 1919-07-29 O 1919-07-02 ~ 1919-07-30 O 1989-10-29 ~ 1989-11-27 1989-09-30 ~ 1989-10-29 X 1989-10-01 ~ 1989-10-30 X
1919-11-22 ~ 1919-12-21 1919-09-30 ~ 1919-10-29 X 1919-10-01 ~ 1919-10-30 X 1990-10-18 ~ 1990-11-16 1990-08-30 ~ 1990-09-29 X 1990-09-01 ~ 1990-09-30 X
1920-11-10 ~ 1920-12-09 1920-09-30 ~ 1920-10-29 X 1920-10-01 ~ 1920-10-30 X 1995-07-27 ~ 1995-08-25 1995-06-30 ~ 1995-07-29 X 1995-07-01 ~ 1995-07-30 X
1923-11-08 ~ 1923-12-07 1923-09-30 ~ 1923-10-29 X 1923-10-01 ~ 1923-10-30 X 1995-11-22 ~ 1995-12-21 1995-09-30 ~ 1995-10-29 X 1995-10-01 ~ 1995-10-30 X
1924-03-05 ~ 1924-04-03 1924-01-30 ~ 1924-02-29 X 1924-02-01 ~ 1924-02-30 X 1997-02-07 ~ 1997-03-08 1996-12-30 ~ 1997-01-29 X 1997-01-01 ~ 1997-01-30 X
1925-05-22 1925-04-30 X 1925-04-01 O 1999-01-17 ~ 1999-02-15 1998-11-30 ~ 1998-12-29 X 1998-12-01 ~ 1998-12-30 X
1925-05-23 ~ 1925-06-20 1925-04-01 ~ 1925-04-29 O 1925-04-02 ~ 1925-04-30 O 2001-04-23 ~ 2001-05-22 2001-03-30 ~ 2001-04-29 X 2001-04-01 ~ 2001-04-30 X
1927-10-25 ~ 1927-11-23 1927-09-30 ~ 1927-10-29 X 1927-10-01 ~ 1927-10-30 X 2005-12-01 ~ 2005-12-30 2005-10-30 ~ 2005-11-29 X 2005-11-01 ~ 2005-11-30 X
1928-10-13 ~ 1928-11-11 1928-08-30 ~ 1928-09-29 X 1928-09-01 ~ 1928-09-30 X 2012-04-21 ~ 2012-05-20 2012-03-01 ~ 2012-03-30 O 2012-04-01 ~ 2012-04-30 X
1931-05-17 ~ 1931-06-15 1931-03-30 ~ 1931-04-29 X 1931-04-01 ~ 1931-04-30 X 2012-05-21 ~ 2012-06-18 2012-04-01 ~ 2012-04-29 X 2012-04-01 ~ 2012-04-29 O
1934-10-08 ~ 1934-11-06 1934-08-30 ~ 1934-09-29 X 1934-09-01 ~ 1934-09-30 X 2012-06-19 ~ 2012-07-18 2012-04-30 ~ 2012-05-29 X 2012-05-01 ~ 2012-05-30 X
1936-07-18 ~ 1936-08-16 1936-05-30 ~ 1936-06-29 X 1936-06-01 ~ 1936-06-30 X 2012-08-17 ~ 2012-09-15 2012-06-30 ~ 2012-07-29 X 2012-07-01 ~ 2012-07-30 X
1942-09-10 ~ 1942-10-09 1942-07-30 ~ 1942-08-29 X 1942-08-01 ~ 1942-08-30 X 2013-06-08 ~ 2013-07-07 2013-04-30 ~ 2013-05-29 X 2013-05-01 ~ 2013-05-30 X
1942-11-08 ~ 1942-12-07 1942-09-30 ~ 1942-10-29 X 1942-10-01 ~ 1942-10-30 X 2019-11-26 ~ 2019-12-25 2019-10-30 ~ 2019-11-29 X 2019-11-01 ~ 2019-11-30 X
1943-11-27 ~ 1943-12-26 1943-10-30 ~ 1943-11-29 X 1943-11-01 ~ 1943-11-30 X 2020-02-23 ~ 2020-03-23 2020-01-30 ~ 2020-02-29 X 2020-02-01 ~ 2020-02-30 X
1944-01-25 ~ 1944-02-23 1943-12-30 ~ 1944-01-29 X 1944-01-01 ~ 1944-01-30 X 2023-05-19 ~ 2023-06-17 2023-03-30 ~ 2023-04-29 X 2023-04-01 ~ 2023-04-30 X
1949-03-29 ~ 1949-04-27 1949-02-30 ~ 1949-03-29 X 1949-03-01 ~ 1949-03-30 X 2026-10-10 ~ 2026-11-08 2026-08-30 ~ 2026-09-29 X 2026-09-01 ~ 2026-09-30 X
1950-03-18 ~ 1950-04-16 1950-01-30 ~ 1950-02-29 X 1950-02-01 ~ 1950-02-30 X 2027-02-06 ~ 2027-03-07 2026-12-30 ~ 2027-01-29 X 2027-01-01 ~ 2027-01-30 X
1950-06-15 ~ 1950-07-14 1950-04-30 ~ 1950-05-29 X 1950-05-01 ~ 1950-05-30 X 2028-01-26 ~ 2028-02-24 2027-12-30 ~ 2028-01-29 X 2028-01-01 ~ 2028-01-30 X
1952-08-20 ~ 1952-09-18 1952-06-30 ~ 1952-07-29 X 1952-07-01 ~ 1952-07-30 X 2029-07-11 ~ 2029-08-09 2029-05-30 ~ 2029-06-29 X 2029-06-01 ~ 2029-06-30 X
1954-02-03 ~ 1954-03-04 1953-12-30 ~ 1954-01-29 X 1954-01-01 ~ 1954-01-30 X 2031-02-21 ~ 2031-03-22 2031-01-30 ~ 2031-02-29 X 2031-02-01 ~ 2031-02-30 X
1955-02-22 ~ 1955-03-23 1955-01-30 ~ 1955-02-29 X 1955-02-01 ~ 1955-02-30 X 2035-01-09 ~ 2035-02-07 2034-11-30 ~ 2034-12-29 X 2034-12-01 ~ 2034-12-30 X
1958-02-18 ~ 1958-03-19 1957-12-30 ~ 1958-01-29 X 1958-01-01 ~ 1958-01-30 X 2036-12-17 ~ 2037-01-15 2036-10-30 ~ 2036-11-29 X 2036-11-01 ~ 2036-11-30 X
1966-01-21 ~ 1966-02-19 1965-12-30 ~ 1966-01-29 X 1966-01-01 ~ 1966-01-30 X 2040-09-06 ~ 2040-10-05 2040-07-30 ~ 2040-08-29 X 2040-08-01 ~ 2040-08-30 X
1968-04-27 ~ 1968-05-26 1968-03-30 ~ 1968-04-29 X 1968-04-01 ~ 1968-04-30 X 2041-03-02 ~ 2041-03-31 2041-01-30 ~ 2041-02-29 X 2041-02-01 ~ 2041-02-30 X
1970-07-03 ~ 1970-08-01 1970-05-30 ~ 1970-06-29 X 1970-06-01 ~ 1970-06-30 X 2046-06-04 ~ 2046-07-03 2046-04-30 ~ 2046-05-29 X 2046-05-01 ~ 2046-05-30 X
2050-02-21 ~ 2050-03-22 2050-01-30 ~ 2050-02-29 X 2050-02-01 ~ 2050-02-30 X

비교한 달력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 음력: 천문우주지식정보
중국 음력: 홍콩천문대
이 글에 대한 태그: , , , , ,

iOS 8의 (중국식) 음력 지원

 
음력 지원이 드디어 iOS에 등장

애플이 앞서 발표했듯이, iOS 8부터는 음력 사용이 좀 더 원활해집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기다렸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동안 시스템 차원의 지원이 없었다 보니 표시/관리 앱을 통해 간접적으로 써야 했지만 이제 그 번거로움이 줄 겁니다.

단, 한국 사람들에겐 아쉽게도 명칭이 "중국력"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물론 사용자가 기본적인 한자만 안다면 대부분의 경우엔 문제가 안됩니다. 날짜도 대체로 같고 60갑자 표시까지 일치하니까요.

근데 이걸 단순히 "음력"이라고 일반화할 수 없는 것은 서울 기준이 아닌 북경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서울과 북경은 위경도 차이가 있어 달의 위상 변화 측정 시간이 미묘하게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실제로 2012년에는 5개월 4개월 동안 하루씩 어긋난 적도 있습니다. 어쨌든 그래도 애플의 중국 공략 때문에 간접적으로 우리한테도 좋은 일이 된 것입니다.

음력 사용을 하려면 설정 > Mail, 연락처, 캘린더 > 캘린더 에서 대체 캘린더를 "중국력"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그 다음부터는 알림센터 화면의 날짜 표시 아래에부터 한자로 음력이 표시됩니다. 캘린더 앱에 들어가도 날짜마다 한자로 음력 표시가 되고요.

한편, 주소록에 음력 생일을 가진 분이 있다면 "생일 추가"를 해서 음력 생일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캘린더에 친절하게 음력 생일이 "중국력 생일"이란 명칭으로 표시됩니다. 아마 이 기능을 많은 분들이 향후 활용하게 되지 않을까 기대가 되네요.
이 글에 대한 태그: , , , , ,

2014년 중 화성이 가장 가까이 온 날

화성과 달

화성은 약 780일마다 한 번 씩 지구에 매우 가까이 옵니다. 어제가 그런 날이었는데, 화성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0.618 천문단위(AU)였습니다. 화성이 이보다 더 가까이 온 것은 2007년 12월 19일에 0.589 천문단위 떨어져 있었을 때였습니다. 이 정도 거리에서 화성의 시직경은 15초 가량 되는데, SX50 HS의 최대 광학줌에서 10픽셀 정도의 폭으로 나타납니다. 다시 가까워지는 2016년 5월 31일이나 2018년 7월 31일이 오기 전에는 이 카메라로 당분간 더 크게 못 찍을 겁니다. 그래도 2배 디지털 텔레컨버터 설정으로 찍은 여러 장의 사진을 RegiStax로 적층하여 보다 선명한 화성 사진을 건질 수 있었습니다.

한편, 흥미롭게도 어제 화성 옆에 보름달이 있었다 보니 한 장의 사진에 두 천체를 한꺼번에 찍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있었습니다. 보름달은 무척 밝지만 화성도 최고의 밝기로 빛나고 있었기에(-1.4 등급) 분명하게 보였습니다. 마침 오늘 개기월식이 일어날 예정이기도 해서 달이 어두워지면서 화성이 더 잘 보일 수도 있겠더군요. 하지만 제가 있는 곳에서는 한낮에 달과 화성이 지평선 아래에 있을 때 벌어지게 되는지라 직접 볼 수는 없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다음 개기월식은 2014년 10월 8일 초저녁에 달이 지평선 위로 올라오면서 시작할 예정입니다. 이 때 어둡게 보이는 천왕성 (5.7 등급)이 달 옆에 있게 되는데, 과연 이 행성을 볼 수 있을 정도로 달이 어두워질까 궁금하군요. 날씨와 장소가 잘 맞기도 해야겠지만.

장치: 캐논 SX50 HS
필터: 없음
위치: 대한민국 수원

기본 사진
설정: 351mm (20%로 축소) - ISO 80 - 1/80초 - f/5.6
시간: 2014-04-14 23:34 KST

내부 사진
설정: 1200mm (2배 디지털 텔레컨버터 적용) - ISO 80 - 1/200초 - f/6.5
시간: 2014-04-14 23:23 KST
41장의 사진을 RegiStax 6.1.0.8로 적층
이 글에 대한 태그: , , , , ,

지난 번에 말한 그 반달

보기 좋게 찍힌 상현 달

며칠 전에 행성 찍을 때 같이 찍었던 달 사진을 올려봅니다. 명암 경계 부분에서 분화구가 두드러지게 잘 보이네요.

장치: 캐논 SX50 HS
설정: 1200mm - ISO 80 - 1/30초 - f/6.5
필터: 없음
시간: 2014-03-10 23:46 대한민국 표준시
위치: 대한민국 수원
40장의 사진을 RegiStax 6.1.0.8로 적층
이 글에 대한 태그: , , ,

(C) 1996-2025. 이 웹사이트의 저작권 및 권한은 정우덕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