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hone 6S Plus 태그가 달린 글

Today's "The Toon-Box"

이 글에 대한 태그: , , ,

SC식 망원경 시준을 위한 자작 인공 별 제작

제가 쓰는 셀레스트론 넥스스타 6SE와 같은 슈미트-카세그레인 망원경(SCT)을 쓸 때 선명한 상이 맺히려면 부경(2번째 반사경)이 제대로 시준(視準, collimation)되어야 합니다. 조정 나사를 고치고 나서 시준을 한 번 하기는 했지만 좀 더 미세조정을 하고 싶었지요. 물론 이렇게 조정을 하더라도 모든 상황에서 널리 확실한 효력을 누리기가 힘들기는 합니다. 각도에 따라서 부경에 중력이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지 때문입니다. 하지만 부경의 지름이 (또한 그에 따른 무게도) 비교적 작기 때문에 미세 조정 후 어긋나는 정도는 크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LED 손전등 개조할 준비 완료

아쉽게도 진짜 별로 작업하기에는 너무 흔들리는 경우가 많아서 인공 별을 쓰는 방법을 적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여기서 인공 별이란 간단히 말해서 작은 구멍을 통해 나오는 밝은 광원입니다. 광원의 경우 쓸만한 걸 하나 가지고 있었는데, 오래 전에 사놓았던 LED 손전등이 안성맞춤이었습니다. 이 물건은 사실 휴대전화 충전용 외장 배터리에 고휘도 LED가 덤으로 장착된 것인데, 10여 년 전에 많이 쓰이던 한국 표준 24핀 단자로 충전시켜야 할 정도로 오래되었습니다. 기다림 끝에 다시 쓸모가 있게 될 때가 돌아온 것이네요.

핀으로 구멍을 내는 모습

처음에는 있는 그대로 써보기도 했는데 LED 부분이 너무 컸습니다. 개조가 필요했던 것이죠. 사용할 재료를 이것저것 비교해 보다 보니 발표자료 출력물 뒷면 커버가 빛을 막는데 효과적이면서도 복잡한 도구가 불필요해서 마음에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 종이를 가위로 필요한 만큼 잘라내 가면서 손전등 덮개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그런 다음 LED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작은 구멍을 냈습니다.
"SC식 망원경 시준을 위한 자작 인공 별 제작" 계속 읽기

Today's "The Toon-Box"

아이폰 7종의 배터리 비교하기 (2부 중 2부)

앞서 올린 글에서 보신 배터리 테스트를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아이폰4S와 그 이후 기종이 iOS 9.1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그러고 나서야 iOS 9에 처음 선보인 "저전력 모드"를 테스트해봤어야 했다는 생각이 비로소 스쳐갔습니다. 이 기능을 쓰면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가는 기능을 일부 제한하고 화면 밝기를 줄이며 프로세서 속도를 늦추는 등의 조치를 하여 기기를 최대 한 시간 더 쓸 수 있게 해준다고 하고 있지요. 그런데 과연 서로 다른 세대의 아이폰에서 동등하게 효과를 볼 수 있을까요?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긱벤치3를 다시 실행시켜 보기로 했습니다.

이 테스트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낼 수 있는 유일한 요소는 프로세서 속도입니다.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아이폰을 모두 비행기 모드로 설정한데다 화면 밝기도 수동으로 최저에 놓고 실행하게 되기 때문이지요. "일반" 모드의 테스트도 다시 실행하게 되었는데, 이는 iOS 버전이 9.0.2에서 9.1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계속 그래왔듯이 측정치는 배터리의 설계용량을 기준으로 정상화하여 비교하게 됩니다.

긱벤치3 배터리 테스트의 정상화된 지속시간에서 보는 저전력 모드의 영향

전력모드 아이폰4S 아이폰5 아이폰5S 아이폰6 플러스 아이폰6S 플러스
일반 04:29:00 02:59:20 02:25:00 05:01:10 07:56:10
저전력 04:26:30 04:36:20 03:40:10 07:15:10 10:34:00

이렇게 보니 애플의 주장이 과장된 것은 아닌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아이폰4S를 제외하고는 실제로 저전력 모드에서 훨씬 오래 버텼습니다. 5와 5S의 경우 1시간 반 남짓, 플러스 계열의 경우 2시간 반 정도인데 이는 30~50% 정도 더 오래 간 것입니다. 아무래도 프로세서 구동속도를 줄여서 지속시간을 최대한 뽑아내도록 한 듯 합니다. 반면에 4S에 탑재된 프로세서는 이 모드 작동에 맞춰 속도를 줄일 수가 없었는지 사실상 아무런 차이도 보이지 못했습니다. 결국 실생활에서 4S는 배터리 절약을 위해 다른 기능 조정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을 뜻하지요.

긱벤치3 배터리 테스트의 정상화된 점수에서 보는 저전력 모드의 영향

그리고 각 모드에서 얼마나 일을 처리하게 되는지 측정한 결과를 보면 더욱 흥미로워집니다. 4S가 딱히 다르게 작동한 게 아니라는 것은 더욱 분명해졌고, 아이폰5의 경우 배터리 지속시간과 속도를 온전히 등가교환한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그보다 더 신세대인 기종들은 저전력 모드에서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한 것으로 나왔습니다. 만약 이 모드를 쓴다고 해도 평소에 주로 쓰는 기능들이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하면, 배터리 지속시간을 최대로 늘리고 싶을 때 계속 저전력 모드를 켜놓고 쓰는 것도 나쁘지 않을 수 있겠습니다.
"아이폰 7종의 배터리 비교하기 (2부 중 2부)" 계속 읽기

아이폰 7종의 배터리 비교하기 (2부 중 1부)

아이폰4S, 5, 5S, 6+, 6S+ 에 긱벤치3 배터리 테스트 실행 중

배터리 지속시간은 스마트폰 쓰는 사람들이라면 대다수가 큰 관심을 가집니다. 어떨 때에는 단순 성능보다도 더 높게 보지요. 오래 쓰지도 않았는데 다시 충전해야 한다면 속도가 빨라봤자 좋을 게 없잖아요? 특히 아이폰의 경우 분해하지 않고는 배터리를 교체할 수 없으니 더욱 중요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시간이 허락되는 대로 이 부분에 대해서도 테스트 해보기로 했습니다.

여기서 짚고 넘어가자면 제 아이폰은 각각 사용시간 편차가 상당히 큽니다. 그러다 보니 남아있는 배터리 용량이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이는 테스트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 뻔하기 때문에 여기서 보시듯이 iBackupBot으로 용량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기종 설계용량 (mAh) 실제용량 (mAh) 비율
아이폰6S+ 2725 2800 102.8%
아이폰6+ 2855 2800 98.1%
아이폰5S 1550 1400 90.3%
아이폰5 1430 1400 97.9%
아이폰4S 1430 1300 90.9%
아이폰4 1420 1347 94.9%
아이폰3GS 1200 1075 89.6%

다행히 배터리는 가용 용량이 90% 이상이 남아있어 대체로 좋은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새로 산 아이폰6S 플러스의 경우 오히려 원래 있어야 하는 용량보다도 조금 더 들어갔고요. 그래도 차이를 무시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배터리 테스트로 얻은 결과는 설계용량에 정상화시켜서 공정한 비교가 되도록 했습니다. 6S 플러스의 결과는 약간 줄어들 것이고 나머지 기종은 각각의 비율에 맞춰서 약간 늘어날 것입니다.

게임을 할 때와 같이 부하가 많이 걸리는 상황을 상정해 보기 위해 긱벤치3 (GeekBench 3) 내장 배터리 테스트를 실행해 보았습니다. 이 기능은 3.3버전 이후부터 제공되고 있어서 하위 버전 밖에 실행하지 못하는 아이폰4와 3GS의 경우 제외되어야 했습니다. 이 테스트에서는 비행기 모드를 켜고 저전력 모드를 껐습니다. 그리고 화면 백라이트가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도 보기 위해 가장 어두운 설정과 밝은 설정에서 모두 실행하게 되었습니다.

긱벤치3로 측정한 후 정상화한 아이폰 배터리 지속시간

화면밝기 아이폰4S 아이폰5 아이폰5S 아이폰6 플러스 아이폰6S 플러스
최소 04:34:10 03:12:50 02:57:20 05:01:20 07:54:00
최대 03:15:30 02:56:10 02:44:20 03:56:40 04:20:30
화면 밝기를 낮춰놓은 상태에서는 아이폰6S 플러스가 이전 세대 기종보다 월등한 모습을 보입니다. 2등을 한 6 플러스보다도 약 2시간 반 정도 더 버티는 대단한 결과이지요. 최대 밝기에서는 차이가 꽤 많이 좁혀지지만 그래도 여전히 살짝 앞서는 데 성공합니다. 6S 플러스가 설계용량이 5% 낮은데도 이런 결과를 냈다는 것은 성능향상에도 불구하고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한 셈입니다.

한편, "플러스" 시리즈는 배터리 용량이 워낙 크다 보니 더 넓은 백라이트와 더 많은 픽셀을 구동시키고 나서도 힘이 남아돌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플러스 시리즈는 이전 기종들 보다 눈에 띄게 지속시간이 더 긴 것입니다. 그리고 신기하게도 5와 5S의 경우는 다른 기종에 비해서 화면 밝기 변화에 의한 차이가 그다지 크기 않았습니다. 이들에 적용된 화면의 특성이 무언가 달랐나 봅니다.
"아이폰 7종의 배터리 비교하기 (2부 중 1부)" 계속 읽기

(C) 1996-2025. 이 웹사이트의 저작권 및 권한은 정우덕에게 있습니다.